1. 포스트잇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 아이디어 관리 및 시제품 개발 : 3M의 연구원 스펜서 실버는 '3M의 기존 제품보다 더욱 강력한 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으나 접착력이 약하고 끈적거리지 않는 접착제가 만들어짐
- 사업성 분석 : 해당 접착제를 사내 기술 세미나에서 발표했으나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함
- 콘셉트 개발 : 3M에 근무하는 아서 프라이가 찬송가집에 끼워둔 종이들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고민하던 중 스펜서 실버의 접착제를 떠올리고 포스트잇의 정식 상품화를 제안함
- 사업성 분석 : 마케팅 부서에서 시장조사를 한 결과 수요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제품 완성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했음
- 상품 개발 및 상업화 : 아서 프라이는 혼자 연구를 지속하여 포스트잇을 출시, 초기 시장 판매 실패함 이후 비서들에게 견본품을 보내 비서들의 주문량이 급증했고 추후 외국에도 수출하게 됨
2. 이론적인 신상품 개발과정과는 순서나 면에서 차이가 있음
- 이론적인 신상품 개발과정 : ① 환경 분석 ② 아이디어 개발 ③ 상품 콘셉트 개발과 테스트 ④ 내부역량 분석 ⑤ 마케팅 전략 개발 ⑥ 사업성 분석과 상품 개발 ⑦ 시험 마케팅 ⑧ 상업화(출시) ⑨ 출시 후 시장반응 모니터링
- 포스트잇의 실제 개발과정 : ① 아이디어 관리 ② 시제품 개발 ③ 사업성 분석 ④ 상품 콘셉트 개발 ⑤ 사업성 분석 ⑥ 상품 개발 ⑦ 상업화
3. 신속하고 실행력 있는 과정을 통해 상품개발이 이뤄졌고, 소비자로서 필요성을 인지하여 제품을 만든 개발자가 소비자의 입장에서 도출한 홍보 전략을 통해 상품을 성공시킴
4. 신상품 개발과정 이론은 가이드라인일뿐, 실제 개발 프로세스는 각 기업이나 상품의 특성 및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
소비자와 상품기획 및 관리 개별과제 #3 신상품 개발과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관찰 프로젝트 (0) | 2023.04.21 |
---|---|
시청률 조사; 시청률의 효용성 (0) | 2023.04.21 |
인스타그램 광고 성과 분석하기 (0) | 2022.01.02 |
네이버 검색광고 성과 분석하기 (0) | 2022.01.02 |
페이스북 광고 운영하기 (0) | 2022.01.02 |